ICT
-
$6 중국산 캡쳐보드 후기ICT 2021. 1. 13. 18:57
어쩌다가? 최근 방송장비를 여럿 신규 설치했는데, 시중의 일반적인 캡쳐보드들은 지나치게 비싸고, 드라이버가 불안정하며, 내장형은 4x 이상의 pcie 슬롯이 부족하고, 외장형은 케이블 안정성이 영 시원찮았다. 그래서 알리익스프레스에 'capture board'를 치니 웬일, 6~9불짜리 USB 직결형 캡쳐보드가 나오지 뭔가. 가격도 저렴하니 속는 셈 치고 구입했고, 어느새 동일 제품으로 세 번째 배송을 받았다. 작동은 잘 하나? 물론이다. 내 기대보다도 훨씬 만족스러운 결과물을 보여주어 여러 개를 구입했고, 앞으로도 구매할 예정이다. 칩셋은 대부분 '매크로실리콘' 사의 'MS2109'를 사용한다. 제품 소개 페이지를 보면 주로 A/V 처리 칩을 제조하는 회사인데, 희한하게도 위 칩셋의 정보는 홈페이지에 ..
-
헬로우 LS05(솔라) 한 달 후기ICT/모바일 2021. 1. 13. 15:41
어쩌다가? 원래 스마트밴드로 만 원에 구매한 미 밴드 3를 사용 중이었다. 목욕탕에 들어갔다 나와도 별 문제없는 제품이었지만 미 밴드도 5까지 나오면서 슬슬 손목의 시계를 바꿀 시기가 됐다고 생각했다. 그래서 이전부터 눈여겨보았던 헬로우 사의 스마트워치를 고려해 보았다. 사각 화면에 고해상도인 LS02, 원형 화면에 디자인이 나은 LS05 두 제품 중 고민하다 동그란 모양이 끌렸기에 LS05를 쿠팡에서 바로 구매했다. 2020년 12월 3일에 주문했으니 사용한 지 벌써 한 달이 넘어가는데, 그동안 느낀 장단점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. 장점 배터리가 오래 간다. 구매 이후 지금까지 딱 한 번 충전했다. 분명 화면 밝기 최고, 24시간 심박수 측정에 수면 추적, 알림 진동까지 켜 두었는데도 완충 상태에서 최..
-
한국의 웹캠, 80%는 보따리 상품?ICT 2020. 12. 19. 23:54
2020년 코로나가 창궐한 이후 일명 '언택트' 시대가 되면서, 웹캠을 많이들 구매하였을 것이다. 그 수요에 맞춰 여러 업체에서 다양한 웹캠을 출시했다. 기존에 쓸 만 하던 제품들은 10만 원을 호가하는 데 비해, 현재는 3~5만원 가격대에서도 충분히 좋은 성능의 웹캠을 구입할 수 있게 되었다. 하지만 많은 컴퓨터 주변기기가 그렇듯, 웹캠 또한 중국에서 '떼 오는' 방식으로 판매하는 제품들이 상당히 많다고 알려져 있다. 물론 대부분의 업체들은 이런 의혹에 손을 내젓지만 합리적 의심이 가능한 경우도 많다. 그 일부 사례를 모아 보았다. 읽기 전에 먼저 주의할 점은, 외관과 스펙이 같다고 완전히 동일한 제품으로 확신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. 같은 공장에서 생산하더라도 하우징만 같을 수도 있고, 센서, 렌즈 ..
-
2020~2021 구매한 웹캠들 평가ICT 2020. 12. 12. 13:10
내가 나중에 참고하려고 쓰는 글이다. 원래 이렇게 정리할 줄 몰랐어서 사진이나 영상 등의 참고자료는 없다. 구매한 순서대로 정렬한다. 최종 업데이트 2021.01.27 TL;DR 제품 추천 1위: 아이락스 IRC70 (49,000원) 2위: 하이크비전 DS-U12 (42,500원) / 고정 초점 3위: 인데나 IND-WC2000 (34,900원) 1. 로지텍 C920 제품 마감 및 완성도: 9/10 최적 해상도: 1920X1080 프레임: 30 fps 오토포커스: 지원 영상 품질: 10/10 색 정확도: 9/10 저조도 성능: 3/10 (기본 상태) 8/10 (낮은 빛 보상 OFF) 사용 편의성: 9/10 가격 대 성능비: 4/10 전통적인 웹캠 명가 로지텍의 가장 유명한 제품이다. 비싸지만 제값은 한다..
-
wgcf으로 PC에서 1.1.1.1 WARP 사용하기ICT/팁 2020. 6. 10. 16:01
공식 PC 버전이 출시되었으므로, 이쪽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. Cloudflare라는 세계적인 CDN1 업체에서 운영하는 DNS가 있습니다. 이는 1.1.1.1로, 지난 검열 사태가 한창 불붙었을 때 Intra와 함께 많이들 들어 보셨을 서비스입니다. 모바일에서는 VPN 프로파일을 생성해 DNS를 1.1.1.1로 라우팅해 주고, PC에서는 네트워크 설정에서 직접 입력해 검열의 위험성이 있는 통신사 DNS 대신 검증되었고 안전한 1.1.1.1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기본적으로 DNS(=Domain Name Service)가 하는 일이 IP 주소를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문자 주소로 상호 변환하는 역할인데, 기본 설정에서는 이 과정에서 자신이 방문한 주소를 통신사가 알아낼 수 있게 됩니다. 이를 막고 검증된..